5인승 이상 차량이면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가 되었는데요. 사실상 전체 차량에 소화기 의무설치가 확대 되었습니다.
모두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필수템인 소화기
■ 차량용 소화기 어떤 종류가 있는지, 또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.
1) 차량용 소화기 아무거나 쓰면 될까요?
아니요~~ 차량화재에 적합한 소화기를 사용해야 하는데요. 차량용 소화기 성능검사에서 인증 받은 제품을 구입해야
합니다. 반드시 소화기 본체 용기 상단에 '자동차 겸용'표시를 확인해 주세요. 그리고 차량용 소화기의 '능력단위'를
확인해야 합니다.
※ 능력단위 : 1(0.7kg), 2(1.5kg), 3 (3.3kg)
2) 능력단위는 왜 확인해야 할까요??
차량 종류 및 탑승인원에 따라 비치해야 할 소화기 능력단위와 수량이 정해져 있습니다.
⊙ 5인승 이상 승용차 및 경형 승합차 :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1개
⊙ 15인승 이하 승합차 : 능력단휘 2이상 소화기 1개 또는 1이상 소화기 2개
⊙ 중형 승합차 16~35인승 : 능력단위 2 이상 소화기 2개
3) 다양한 종류가있는 차량 소화기!!!
차량용 소화기는 5가지 정도로 구분 됩니다.
차량용 분발소화기, 할로겐 화물소화기, 이산화탄소 소화가. 강화맥 소화기, 폼 소화기
이중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소화기 3종류는 다음과 같아요.
▶ 분말 소화기
ㅡ 분말형 분말을 이용하여 소화력이 탁월 하고 사이즈가 다양한 편입니다.
다만, 분말이 엔진이나 부품 위에 그대로 남아 2차 오염 위험이 있습니다.
▶ 할로겐 소화기
ㅡ 기체형으로 되어있어 분사 이후 2차 오염의 위험은 없으나 가격이 다소 비싼편 입니다.
그리고 종류에 따라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유독가스를 배출할수 있어서 밀폐된 공간에선 부적절 합니다.
▶ 폼 소화기
ㅡ 거품형 레이싱카에 화재가 날 경우 주로 사용됩니다. 거품으로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
하는데, 수요가 적은만큼 다소 비싼편입니다.
4) 차량용 소화기 설치 위치.
2020년 차량용 소화기 설치규정을 살펴보면
▶ 승용차 : 운전자가 손을 뻗었을때 닿을수 있는곳
▶ 승합차 : 탑승자 및 동승자가 쉽게 사용할수 있는 곳
차량에 따라 운전석 또는 조수석 차량 문 옆에 위치한 시트 밑 혹은 운적석 시트 뒤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요즌에는 소화기와 스트렙이 같이 들어있어 고정할수 있는 제품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.
트렁크보관은 위급한 상황에 사용이 어려워 무용 지물이될 수 있어요.
'일상 과 발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이어트를 건강하게 : 스위치 온(Switch On Diet) 다이어트 (5) | 2025.02.21 |
---|---|
자동차 소화기 의무 설치 2024년12월 (2) | 2025.02.09 |
2025부터 바뀌는 것들 (운전면허 & 음주운전 법령 강화) (2) | 2025.02.04 |
2025년부터 싹 바뀌는 것들 뭐가 있을까? (4) | 2025.01.24 |
2025년 "차량용 소화기 의무화" 설 연휴 장거리 운전 꼭 챙기세요. (2) | 2025.01.24 |